본문 내용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마크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전체메뉴

국립해양조사원

검색하기

  • 메인으로

Q. 앱(웹) 서비스를 개발중인데, 해양예측(예보) 정보를 연계하고 싶습니다. 어떤 절차로 이용할 수 있나요?
Open API는 데이터 플랫폼을 외부에 공개하여 웹 및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사용자들과 공유하는 프로그램으로, 바다누리 Open API는 국립해양조사원이 생산하는 해양예측·관측 정보를 Open API 형태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Open API 이용 절차


바다누리 해양정보 서비스 회원가입 → Open API 메뉴에서 인증키 발급 → 사용하고자 하는 API 항목 클릭 → 해당 API 요청변수를 입력한 요청주소 이용



관련문의 : 해양예보과 (051-400-4387)

Q. 자연과학용 대표수심이 무엇인가요? 해도와 다른 수심인가요?
자연과학용 대표수심은 해양연구, 모델링 등에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제작한 수심 데이터셋입니다.

자연과학용 대표수심은 TIN 모델을 기반으로 지형이 복잡한 지역은 고밀도로, 평탄한 지역은 저밀도로 수심을 추출해 용량을 경량화 하였으며, 해저지형을 최대한 왜곡 없이 재현할 수 있도록 주변 대표수심을 추출했습니다.

해도 수심은 항해 안전을 고려해 낮은 수심을 중심으로 해저지형을 표현했기 때문에 자연과학용 대표수심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자연과학용 대표수심 :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 → 해양정보 → 바다누리 해양정보격자형 해양정보


관련문의 : 해양예보과 (051-400-4393)

Q. 수치조류도는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하나요?
수치조류도는 바닷물의 흐름 중 천문현상에 의한 힘(기조력)만을 고려해 원하는 시기의 조류를 예측하여 보여주는 것으로, 바다누리 해양정보 서비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치조류도 사용법


바다누리 해양정보 → 격자형 해양정보 → 유향/유속 → 예보 및 모델 예측 → 수치조류도 → 화면 하단에서 예측하고자 하는 날짜 및 시간 지정 → 조류 예측정보 확인



관련문의 : 해양예보과 (051-400-4387)

Q. 수치조류도의 정확도는 어떻게 되나요?
수치조류도는 바닷물의 흐름 중 규칙적인 천문현상에 의한 힘(기조력)만을 고려한 조류예측정보로, 해류, 바람 등 다른 영향이 큰 지역에서는 실제 바닷물의 흐름과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실제 바닷물의 흐름과 비교해 정확도를 판단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수치조류도 사용법


바다누리 해양정보 → 격자형 해양정보 → 유향/유속 → 예보 및 모델 예측 → 수치조류도 → 화면 하단에서 예측하고자 하는 날짜 및 시간 지정 → 조류 예측정보 확인



관련문의 : 해양예보과 (051-400-4387)

Q. 수치조류도와 바다누리의 유향/유속 예측정보(황동중국해)가 다릅니다. 어떤 자료를 이용해야 하나요?
수치조류도는 바닷물의 흐름 중 규칙적인 천문현상에 의한 힘(기조력)만을 고려한 조류 예측시스템으로 기상현상 등 다른 원인에 의한 영향은 고려되지 않았으며, 황동중국해 예측정보는 기상(바람, 기압 등), 해류 등 다양한 외력을 고려하여 예측된 결과입니다.

따라서 수치조류도와 황동중국해의 유향/유속 정보는 상이할 수 밖에 없으며, 사용하시고자 하는 목적에 맞는 정보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확인하고자 하는 예측정보가 바다에서 기조력에 의한 조류를 확인하고 싶다면 수치조류도를, 기상 등 여러 외력을 고려한 바닷물의 흐름을 확인하고 싶다면 황동중국해 유향/유속을 사용하시는 것이 적절합니다.

관련문의 : 해양예보과 (051-400-4387)

Q. 생활해양예보지수는 어떻게 생산되나요?
생활해양예보지수는 해양·기상 등 예보지수를 산출하는 지표와 가중치에 따라 해양활동의 체감정도를 5등급(매우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우나쁨)으로 나타낸 해양예보정보입니다.

생활해양예보지수는 해수욕지수, 뱃멀미지수, 바다낚시지수, 스킨스쿠버지수, 바다갈라짐 체험지수, 갯벌체험지수, 바다여행지수, 서핑지수 등 총 8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국립해양조사원 해양예보과에서 운영중인 해수순환모델(YES3K, ROMS), 기상모델(WRF), 파랑모델(WW3) 등 해양예측자료와 기상청 파랑모델(CWW3, RWW3) 예측자료를 지표로 활용하여 생활해양예보지수를 산출하고 있습니다.

※ 생활해양예보지수 :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 → 해양정보 → 해양생활 → 생활해양예보지수


관련문의 : 해양예보과 (051-400-4386)

Q. 바다누리의 뜰개부이는 어떤 자료 인가요?
고정된 정점에서 유향·유속을 관측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시간에 따른 해수입자 이동을 추적하여 해수유동을 관측하는 방법으로 적은 비용으로 넓은 범위의 해수유동을 알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초장기에는 해류병을 투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GNSS 안테나를 통해 위치를 수신하고 위성통신을 통해 실시간 자료 전송이 가능한 부이를 이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입니다.

바람 등 외력의 영향을 배제한 해류관측을 위해서는 국제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SVP(Surface Velocity Program) 타입의 부이를 사용합니다. 이는 직경 40cm 이하의 부이 아래 15m 수심의 해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저항판(Drogue)을 설치하였습니다(왼쪽 그림). 한편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해양예측모델의 검증을 위해 SVP와 다르게 제작된 원통형 부이(직경 10cm, 길이 30cm)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외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SVP(Surface Velocity Program) 타입의 부이


※ 뜰개부이 자료 :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 → 해양정보 → 바다누리 해양정보격자형 해양정보

관련문의 : 해양예보과 (051-400-4393)

Q. 이안류는 무엇이고, 왜 발생하나요?
이안류란 파도가 부서지면서 육지 쪽으로 밀려든 바닷물이 좁은 폭의 형태로 다시 바다로 빠르게 빠져 나가는 흐름입니다.

해안에서 수평 방향으로 불균등한 파랑에너지 분포가 형성되면, 에너지가 낮은 영역에서 외해 방향으로 흐르는 이안류가 발생합니다. 불균등한 파랑에너지 분포는 연안으로 들어오는 파도의 파고와 파주기가 클 때, 파도가 연안에 직각 방향으로 들어올 때, 쇄파대의 폭이 넓을 때 등 여려 물리적 해양환경조건에 의해 형성됩니다.

관련문의 : 해양예보과 (051-400-4395)

Q. 이안류 지수는 무엇이고,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이안류 지수란, 해양 관측·예측 정보를 분석하여 이안류 발생 가능성을 4단계(관심·주의·경계·위험)로 구분한 지수입니다.

사전에 이안류 관련 해양정보(파고, 파주기, 파향, 조위, 등)를 기반으로 약 300여 개의 해상상태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이안류 발생에 관한 수치모의를 실시함으로써 시나리오별 이안류 발생 분포를 비교·분석하고 이안류 지수 계산식을 도출합니다.

이안류 감시 대상 지역 인근에 위치한 해양관측부이와 조위관측소에서 실시간으로 관측한 해양정보를 분석한 후 이안류 지수 계산식에 대입하여 5분 간격으로 이안류 지수를 산출합니다.

※ 이안류지수 :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 → 해양정보 → 바다누리 해양정보격자형 해양정보 → 예보지수 및 해황예보 → 이안류지수

관련문의 : 해양예보과 (051-400-4395)

Q.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운용하는 해양수치모델의 종류 및 해상도가 궁금합니다.
국립해양조사원은 대국민 해양예보 서비스를 위해 광역/근해/연안/국지 해양모델을 운용 중에 있습니다.

광역모델의 경우 북태평양 및 북서태평양 영역에 대해 각각 28km, 5km 격자해상도로, 근해는 황·동중국해 및 동해 영역으로 3km 해상도로 예측정보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연안의 경우 동해연안 및 한반도 연안 영역에서 각각 1km, 0.3km 격자해상도로, 국지모델은 울릉도·독도 영역에서 0.3km 격자해상도로 운용되고 있습니다.

각 모델은 해수면높이, 해수유동, 수온, 염분에 대해 72시간 이상의 예측정보를 산출하고 있으며 국립해양조사원 해양예보 서비스(해양예보지수 및 해황예보도, 바다누리 해양정보, 해양방송 등)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해양예측시스템 흐름도

관련문의 : 해양예보과 (051-400-4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