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로측량
조사목적
은 지적공부에 등록된 지역부터 의 외측 한계까지 육지와 가 공존하는 구역을 의미하며, 의 목적은 연안해역의수심, , , 천부지층 등의 조사를 실시하여 연안해역 관리 및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해상교통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다.
주요조사 내용
- 연안해역의 해저지형 및 해저 시설물, 위험물 조사측량
- 연안해역의 조석 및 해류 관측
- 자연정화기능을 갖는 생태보호구역 대상지 조사
원도제작 및
해저정보 DB구축
- 조석관측
- 저질조사
- 해저지층
탐사
- 지리 조사
- 해저지설물
조사
- 멀티빔 조사
- 조류 관측
추진실적 및 향후계획
- 2010년 목포, 군산, 포항 등 총 1,657km²의 연안해역조사 완료
- 2011년 서해남부 및 새만금 부근 등 약 2,301km²의 연안해역조사 완료
- 2012년 완도남부 및 고흥남부등 총 3,167km²의 연안해역기본조사 완료
- 2013년 고흥부근 등 총 1,500km²의 연안해역정밀조사 완료
- 2014년 완도부근 등 약 1,200km²의 연안해역정밀조사 예정

기대효과
- 연안해역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조사로 해양정책수립 및 관련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
- 연안해저에 산재된 송유관, 가스관 및 케이블 등의 위치 정보 제공
- 전자해도, 연안기본도제작, 연안통합관리 및 연안정비 등 관련사업에 자료 제공
- 해양조사가 미실시된 해역에 대한 디지털자료의 획득으로 한국 연안의 전반적인 기초자료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