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마크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전체메뉴

국립해양조사원

검색하기

  • 메인으로

Q. 천리안위성 2B호는 무엇인가요?
천리안 2B호는 천리안 1호의 임무를 승계하고 해양∙환경관측을 수행하기 위하여 2020년 2월 19일에 발사한 위성으로 해양탑재체(GOCI-Ⅱ)를 이용하여 동아시아(Local Area) 1일 10회, 전구(Full Disk) 1일 1회 관측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천리안위성 2B호 사진

관련문의 : 국가해양위성센터 (051-400-4412)

Q. 천리안위성과 비교하여 천리안위성 2B호의 달라진 점은 무엇인가요?
천리안위성 1호에 비해 공간해상도는 4배(500 m→250 m)로 증가하였으며, 관측 가능한 채널이 기존 8채널(가시 8)에서 13채널(가시 9, 적외 3, 광대역 1)로 약 1.5배 향상되었습니다.

천리안위성 1호 2호 차이점, 1호의임무는 통신 및 기상해양관측 2호의 임무는 기상,우주기상관측,해양환경관측, 1호의 해상도는 기상 1Km 해양500m 천리안위성2호 기상 1Km 해양 250m 환경 7km 기상탑재체 1호 5채널, 2호 16채널, 통신탑재체 1호 Ka대역 환경탑재체, 2호 1000채널

관련문의 : 국가해양위성센터 (051-400-4412)

Q. 정지궤도 위성, 저궤도 위성, 극궤도 위성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① 정지궤도 위성이란 인공위성의 공전주기와 지구의 자전주기가 같아 지상에서 관측 시 정지한 것처럼 보이는 위성을 말합니다. 지구의 자전주기와 동일시 하기 위해 약 36,000 km 상공에서 공전하고 있으며, 같은 지역을 자주 관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멀리 떨어져 있어 공간해상도가 낮은 단점이 있습니다.

② 저궤도 위성은 정지궤도 위성보다 낮은 상공에 위치해 지구를 관측하는 위성을 말합니다. 500~1500 km 상공에 위치하여 공간해상도가 높은 장점이 있지만 같은 지역을 하루에 1~2번 관측하기 때문에 연속적인 관측이 불가능합니다.

③ 극궤도 위성은 저궤도 위성의 특별한 형태로서 양극(북극, 남극)을 통과하는 궤도를 가진 위성을 말합니다.

관련문의 : 국가해양위성센터 (051-400-4412)

Q. 수명이 다한 인공위성은 어떻게 하나요?
① (지구의 대기권으로 추락) 남태평양의 포인트 니모(해양도달불능점*, 남위 48도52.6분, 서경 123도23.6분)라는 곳이 있는데 이 지점은 다른 바다에 비해 생명체가 거의 살지 않으며, 가장 가까운 육지(이스터섬)로부터 2,688 km나 떨어져 있기 때문에 우주선들의 묘지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 육지의 어떤 지점에서도 가장 먼 해양의 지점

② (묘지 궤도(Graveyard orbit)로 이동) 인공위성 등의 궤도 보다 더 높은 궤도로 이동시켜 다른 작동 중인 인공위성과의 충돌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소멸시키는 것입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인공위성 등의 궤도조정이 불가능하거나 연료가 없는 경우에는 이용할 수 없고, 각국의 우주 개발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우주 쓰레기 처리의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우주 쓰레기를 수거하는 여러가지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고 합니다.

관련문의 : 국가해양위성센터 (051-400-4412)

Q. 국가해양위성센터에서 제공하는 표층수온 합성장(KHOA SST) 자료는 어떻게 만들어졌나요? 자료제공 시간은 어떻게 되나요?
국가해양위성센터에서 제공하는 표층수온 합성장은 국내 기상위성인 천리안 2A호 표층수온을 중심으로 국외위성 4종(GCOM-W1, GPM, NOAA-20, Terra)을 합성하여 생산한 일일 합성장 자료입니다.

또한, 연안에서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국가해양관측망의 조위관측소와 해양관측부이, 기상청 해양기상부이 등의 현장관측 자료를 추가로 합성하였습니다.

자료제공 시간은 표층수온 합성장에 사용되는 국외 입력 위성자료의 수집 일정으로 인해 실시간 자료제공은 어려우며, 현재 이틀 전(D-2) 자료를 한국시간 오전 9시 기준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합성방법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자료와 함께 제공되고 있는 알고리즘 분석서(ATBD)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관련문의 : 국가해양위성센터 (051-400-4422)

Q. 괭생이모자반은 무엇이고, 왜 탐지하게 되었나요?
괭생이모자반이란 갈조류의 해조식물로, 매년 봄철 바다 위를 떠다니며 중국연안에서부터 해류를 타고 우리나라 제주, 전남 연안으로 유입되고 있습니다.

연안으로 유입되면서 선박사고나 인명피해, 양식장에 피해를 입히며 해안가에 쌓여 악취를 내기도 합니다. 이에 따라 우리 원에서는 먼 바다에서부터 밀려오는 괭생이모자반의 광역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천리안 2B호 위성을 활용하여 탐지를 수행하게 되었습니다.

단, 우리 국가해양센터에서 제공하는 괭생이모자반 탐지자료는 광학위성인 천리안 2B호를 기반으로 합니다. 광학위성은 해가 있는 낮, 구름이 없는 맑은 지역에 한하여 관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름이 있는 지역은 관측할 수 없습니다.

괭생이 모자반이 점유하고 있는 면적은 FAR(Floating Algae Ratio) 값을 이용하여 나타냅니다. 이 값은 한 픽셀(250 m x 250 m) 안에 괭생이 모자반이 얼마나 점유하고 있는지 비율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FAR값이 0.005인 경우 해당영역에 약 312m2 만큼의 괭생이 모자반이 존재함을 나타냅니다.

* (한 픽셀) 250 m x 250 m x (점유면적비) 0.005 = 312.5m2
※ 해양위성자료
1.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 → 해양정보 → 해양위성정보 → 위성활용산출물
2. 국가해양위성센터 누리집 → 최신위성영상 → 활용산출물

관련문의 : 국가해양위성센터 (051-400-4424)

Q. 천리안 2B호 해양위성자료는 어떻게 받을 수 있나요?
천리안 2B호 해양위성자료는 국가해양위성센터 누리집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직접 검색 방식, 웹 디렉토리 및 OPeNDAP 방식으로 이용 가능합니다.

관련문의 : 국가해양위성센터 (051-400-4433)

Q. 천리안 2B호 해양위성자료는 어떤 파일 형태로 제공이 되나요?
국가해양위성센터가 제공하는 천리안 2B호 해양위성자료는 크게 표준영상(L1B)과 기본산출물(L2)가 있습니다.

표준영상(L1B)의 자료는 과학 데이터 형식인 NetCDF파일과 그림 자료 형식인 JPG 파일의 형태로 제공이 되며, 기본산출물(L2)은 NetCDF파일로 제공이 됩니다. 또한 사용자분의 직관적 해석이 가능하도록 기본산출물(L2)을 한 장으로 합성한 합성영상을 그림 파일 형태로 제공 중에 있습니다.

관련문의 : 국가해양위성센터 (051-400-4433)

Q. 해양위성자료의 생산 절차가 궁금합니다.
천리안 2B호에서 관측된 자료는 전자신호로 변환되며, 표준자료와 기본산출물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생산됩니다.

▶해양위성자료 생산 절차


① 복사보정 : 디지털 값으로 촬영된 빛의 세기 영상을 정확한 밝기 값으로 변환


② 기하보정 : 기하학적으로 왜곡된 영상을 정확한 지구의 위도와 경도 위치로 보정


③ 지리보정 : 위치정보를 입력


④ 대기보정 : 위성과 바다 사이의 대기 영향을 제거


관련문의 : 국가해양위성센터 (051-400-4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