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해양관측에 관한 계획의 수립·시행 2. 해양의 물리학적 조사 3. 해양기상에 관한 조사 4. 평균해면 및 기본수준면의 결정고시 5. 조석 및 조류 등 해양현상의 추산 및 예보 6. 해양조사장비 검정센터 구축 및 운영 7. 해양관측업무의 위탁·수탁 |
8. 종합해양과학기지 관리 및 운영 9.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변화 분석 10.국가해양관측망 구축·운영 및 해양정보 제공 11.해양관측 표준화계획 수립·시행 12.해양조사사무소의 해양관측업무 지원 13.해양조사 관련 역사자료의 보관·관리 14.해양조사선 및 장비의 관리·운영 |
우리나라 주요항만 및 의 해수면 변동파악, 예측정보 산출, 결정 등을 위해 을하고 있다. 주요 에는 를 운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주요해역 및 와 위험해역의 관측자료 제공과 예측정보 산출 등을 위해 해수유동(, ) 관측을 하고 있다. 주요해역 및 항로 등에 해양관측부이, 해수유동관측소 등을 운용하고 있다.
바다의 , 해양공사 높이, 결정 등에 활용하는 해양 수직기준면 정보제공을 위해 (Tidal Bench Mark; TBM) 조사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 주요연안에 기본수준점을 매설하여 유지 관리하고 있다.
홈페이지 이용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