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로도서지 간행계획 수립·시행 2. 수로도서지 간행 및 관리 기준에 관한 업무 3. 수로도서지 편집자료의 조사·분석 4. 해도편집도 및 측량원도의 보관·관리 5. 전자해도의 제작 및 연구·개발 6. 해양주제도(海洋主題圖)의 연구 및 간행 7. 수로도서지 판매 대행업자의 지정·관리 및 지도 |
8. 수로도서지 판매가격 결정 및 복제 승인 9. 해양조사사무소의 항해안전자료 수집 관련 지원 10.동해명칭 홍보 및 해양지명에 관한 업무 11.해군작전 지원을 위한 수로도서지 제공 12.수로도서지 업무의 위탁·수탁 13.항행통보의 발행 등에 관한 업무 14.해양조사 관련 국제협력 |
해도는 사용목적에 따라 항해용 해도, 특수도로 구분되고 있습니다.
1. 항해용 해도 | 2. 특수도 |
---|---|
총도(General chart) | 어업용해도(Fishery chart) |
항양도(Sailing chart) | 영해도(Territorial chart) |
항해도(General chart of coast) | 위치기입도 |
해안도(Coastal chart) | 세계항로도 |
항박도(Harbour chart) |
가장 널리 쓰이고 출판되는 종수가 많아 통상 해도를 가리킬 때 항해용 해도를 의미한다.
지구상 넓은 구역을 한 도면에 수록한 해도로서 원거리 항해와 항해계획을 세울 때 사용 한다. 축척은 1/400만 보다 소축척으로 제작된다.
원거리 항해시 주로 사용되며 먼바다의 수심, 주요등대ㆍ등부표, 및 먼 바다에서도 볼 수 있는 육상의 목표물들이 도시되어있다. 축척은 1/100만 보다 소축척으로 제작된다.
육지를 멀리서 바라보며 안전하게 항해할수 있게끔 사용되는 해도로서 1/30만보다 소축척으로 제작된다.
연안 항해용으로서 연안을 상세하게 표현한 해도로서, 우리나라 연안에서 가장 많이 사용 되고 있다. 축척은 1/3만 보다 작은 소축척이다.
항만, 투묘지, 어항, 해협과 같은 좁은 구역을 대상으로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시설 등을 상세히 표시한 해도로서 1/3만 이상 대축척으로 제작된다.
항해참고, 학술, 생산 및 자원개발 등에 이용하기 위한 해도이다.
일반 항해용 해도에 각종 어업에 필요한 제반자료를 도시하여 제작한 해도로서 해도번호 앞에 "F"자를 기재한다.
영해도, 위치기입도, 세계항로도 등이 있다.
홈페이지 이용안내